Articles

Development of Music learning program Using Applications Based on Design Thinking

AUTHOR :
Su-yeon Kim,Yoo-jin Oh
INFORMATION:
page. 29~47 / 2019 Vol.48 No.3
e-ISSN 2713-3788
p-ISSN 1229-4179
Received 2019-05-30
Revised 2019-07-25
Accepted 2019-08-08
DOI https://doi.org/10.30775/KMES.48.3.2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usic class programs using smartphone applications based on design thinking. The program plan was designed to select, define, and derive ideas through three(Empathize stage, Define stage and Ideate stage) of the five stages of design thinking. At the prototype stage, the app was used to produce campaign songs. At the last stage of the test, the students team-by-team campaign song was presented and feedback was provided to each other. The program consisted of seven weeks and 29 students in the first grade of P middle school in Gyeonggi-do were tested as experimental groups and 29 control groups. Although the results of the class showed confusion about the first-ever class and the limitations of composing app use, the interest and satisfaction of the class as a whole were high.

Keyword :

REFERENCES


  1. 강상희, 박재호, 송동주 (2016). 디자인씽킹. 대구: 영남대학교출판부.
  2. 고운정, 김경은, 김기명, 김소연, 이신동, 최인혁, 홍종선 (2015). 지능과 창의성의 프레임. 파주: 양서원.
  3. 권헌숙 (2015). 초등학생용 감정카드와 바람카드 개발 및 공감능력증진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분석: 공감능력, 친사회적행동, 정서인식 및 표현 능력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일반대학원.
  4. 김수연 (2018). 디자인씽킹에 기반을 둔 ICT 활용 음악수업 프로그램 연구. 석사학위 논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5. 김영채 (1999). 창의적 문제 해결: 창의성의 이론, 개발과 수업. 파주: 교육과학사.
  6. 문대영 (2018). 초등 예비교사의 발명 문제 해결 활동을 위한 디자인 씽킹 적용방안 탐색.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1(2), 21-39.
  7. 박상혁, 박정선, 오승희, 이명관 (2016). 사회 혁신을 위한 디자인씽킹과 액션러닝의 통합모형. 벤처창업연구, 11(2), 89-100. https://doi.org/10.16972/apjbve.11.2.201604.89 [Crossref]
  8. 백영균 (2002). ICT 활용교육론. 서울: 문음사.
  9. 서응교, 전은화, 정효정 (2016). 대학생 창의역량 개발을 위한 디자인씽킹에 기반 강좌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4), 693-718.
  10. 석문주, 문경숙, 최미영 (2017). 음악교육에서의 공감에 관한 고찰. 음악교육연구, 46(4), 205-223.
  11. 서응교 (2017). 플립러닝과 디자인씽킹에 기반을 둔 창의적사고 강화와 코딩 교육을 위한 강좌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6), 173-199.
  12. 신재한 (2017).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서울: 이모션북스.
  13. 이상선, 김동민, 김미희, 김수찬, 김한중, 박경문, 이인석 (2015). 디자인씽킹을 도입한학부과정의 융합교육 사례: 교수설계의 관점을 중심으로. Design Convergence Study, 14(1), 64-81.
  14. 이선영, 윤지현, 강성주 (2018). 초등학생들의 집단 창의성 개발 전략으로서 디자인씽킹에 기반 문제 해결 프로그램의 가능성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1), 525-554.
  15. 임수연 (2016). 디자인씽킹 기반 융합예술교육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6. 임지민 (2017). 디자인씽킹 교육이 대학생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17. 정정호, 장동련 (2012). 수평적 조직구조에서 디자인씽킹에 기반의 창의성 발현.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5(2), 219-230
  18. 조연순, 성진숙, 이혜주 (2008). 창의성 교육.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 조준동 (2017). 창의융합 프로젝트 아이디어북. 서울: 한빛아카데미(주).
  20. 주상윤 (2012). 창의적 발상의 원리와 기법. 울산: UUP.
  21. 최인수, 변문경, 박찬, 김병석, 박정민, 전수연, 전은경 (2018). 4차 산업 수업 혁명. 서울: 다빈치 books.
  22. 한순미 (2005). 창의성. 서울: 학지사.
  23. Daniel, L. (2017). 디자인씽킹 가이드북. 김정동, 김용우, 김흥수. 파주: ㈜생능출판사.
  24. David, H. (2013). 공감의 힘. 이진경. 서울: 지식의 숲.
  25. Ellen, L. (2016). 그래픽 디자인 씽킹: 창의적 사고와 표현. 이재선, 윤지선. 서울: 비즈앤비즈.
  26. Howard, G., & Katie, D. (2014). 앱 제너레이션. 이수경 역. 서울: ㈜미래엔.
  27. Linda, H., Greg, B., Emily, T., & Kent, L. (2016). 혁신의 설계자. 이은주 역. 서울: 북스톤
  28.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veloper?id=COOLJAMM+Company. 접속일 05. 11. 2019.

Archives

(53 Volumes, 814 Articles)
view all volumes and issues